분류 전체보기 501

state 사용 (state값 초기화, props값 설정 )

한번쯤은 render라는 함수 밑에 선언되어있는 props의 값이 맘에 안들때가 있을겁니다. 이 props의 값을 state로 만들고 그 state값을 subejct의 props로 전달하도록 만들겠습니다. 1. state값을 초기화 하는 과정입니다. 다음과 같이 선언하면. render함수보다 먼저 실행이 되면서 그 컴포넌트를 초기화 해주고싶은 코드를 constructor 안에 작성합니다. 2. state 초기값 설정 후 props값 설정합니다. 그래서 this.state로 초기값을 설정한후에, 그 설정된 값을 render함수 안에 있는 Subject 컴포넌트에 대입시킵니다. 그럼 index.js파일로 가볼까요? App이라고 선언된것만 봤을때는 state를 사용했다는것을 알 수 있을까요? 아닙니다. 전혀 ..

React/state 2021.02.05

Components 파일로 분리하기

우선 이러한 클래스들이 만약 하나의 js파일에 천개 만개 이상이 들어간다고 상상해봅시다. 매우 복잡해 질 것입니다. 그래서 할 작업은, 각각의 컴포넌트들을 분해해서 작성해 보는겁니다. 1. SRC폴더 안에 components 폴더를 만드는 것입니다. TOC.js파일을 만들고 기존에 App.js파일 안에있는 TOC 소스코드를 긁어옵니다. 그런데 문제가 발생할겁니다. 다음의 문제인데요, 컴파일이 되지않는겁니다. 이것을 해결하기위해서는 import해야할 것이 있습니다. 이뜻은 Componenet라는것을 로딩하는 코드가 없다는 뜻입니다. 2. 파일안에 import해줍니다. 그럼 이뜻은 react라는 라이브러리에서 Component라는 클래스를 로딩한것입니다. Component 단어 앞에 React라는 단어는 꼭..

React/컴포넌트 2021.02.04

React props에 대해

다음과 같이 Subject를 두번입력하면 그냥 똑같은것이 두번출력됩니다. 이부분에 대해서 react는 아쉽게 생각하게 됩니다. 이것을 해결하기위해서 props를 이용하게 됩니다. 하단 링크에서 참고하세요! ko.reactjs.org/docs/components-and-props.html Components and Props – React A JavaScript library for building user interfaces ko.reactjs.org 확인해보면 props사용방법을 알 수 있게 됩니다. 이제는 이 개념을 본인이 만든 소스코드에 접목 시켜보겠습니다. 이부분을 바꿔보도록 하겠습니다. Subject 클래스와 App클래스의 변경사항을 쉽게 비교하기 위해서 잠시 Subject클래스를 밑에 내렸습니..

React/컴포넌트 2021.02.04

React 컴포넌트(Component) 만드는 방법 -> JSX 방식

우선 왼쪽부분에 html코드가 완성된 코드라고 봅니다. 그리고 header태그 영역을 컴포넌트로 만들고자 합니다. 그럼 클래스를 선언해야하는데, 클래스의 이름을 Subject라고 하고 Component를 상속받게합니다. 그리고 밑에 render()은 함수인데, function render()라고 선언하지않아도 같은 기능을 하게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return안에 header태그를 넣어줍니다. 그럼 header태그는 컴포넌트로 만들어 진것인데, 이것을 사용하려면 Subject태그를 내가 원하는 위치에 사용하면 되는것입니다. 브라우저에서 어떻게 보이는지 볼까요? 보면 header태그는 App클래스 div태그 안에 들어있는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신기한것은 웹브라우저는 react의 존재를 모릅니다. 왜냐하면..

React/컴포넌트 2021.02.04

배포하는 방법 (npm run build, npx serve -s build) feat.Empty Cache and Hard Reload

1. Empty Cache and Hard Reload 이것은 아주 강력한 reload 입니다. 보통 성능을 위해서 다운로드해서 보관해 두었다가 그다음에는 접속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이것을 하면 캐시를 다 없애버립니다. 그리고 Network에 가면 1.8mb가 다운되어져 있는데 이것은 react에서 편의를 제공해주기위해 여러가지 기능들을 추가해 놓은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개발자들은 이렇게 무겁게 돌아가는것은 상관없지만, 사용자들까지 이렇게 무거우면 안됩니다. 1.8MG나 되는 무거운 환경입니다. 2. npm run build (배포버전 보기) 다시 VScode로 돌아가서 terminal에 명령을 해줍니다. npm run build 다음과 같이 명령을 하면 디렉터리에 build 폴더가 생성되어 있습니다. ..

React/기초 2021.02.03

create reate app에서 CSS 코딩작업 준비(feat. import에 대해서)

1. import에 대해서 우선 CSS코딩하기전에 알아두어야 할 것이 있습니다. 이것은 컴포넌트 이름을 지정하는곳으로 두개의 동그라미 안에 있는 문자들은 서로 같아야합니다. 저곳은 파일경로를 말하는겁니다. 그래서 컴포넌트와 별개로 경로와 파일의 이름을 동일하게 해줘야합니다. 2. CSS코딩하는방법 우선 스타일링하기전에 app.css와 index.css 안에있는 소스들을 다 지웁니다. src파일 안에있는 css소스코드를 완벽하게 지웠습니다. 이로서 스타일링 작업준비는 끝나게 됩니다.

create react app에서 Javascript 코딩하는 방법 (public폴더, src폴더) feat. 클래스방식

코딩하기전에 디렉터리 구조부터 파악하겠습니다. 1. public 폴더 우선 public 폴더에 들어가면 index.html 파일에 들어갑니다. 이 html 파일이 우선 UI가 어떻게 보이는지 설정해주는곳인데요, 여기서 눈여겨 볼만한곳이 빨간색 네모 박스 친 부분 입니다. 만약에 컴포넌트를 만들어갈때는 저기에 있는 "id=root"라는곳에 넣어야 합니다. create react app은 그렇게 약속을 했습니다. 그 컴포넌트 수정 과정은 다른 폴더 속에서 해야합니다. 2. src 폴더 컴포넌트를 수정하고 추가하는곳은 src폴더입니다. 그래서 개발작업을 할때는 거의 대부분 src폴더에서 이루어질 것입니다. 우선 index.js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아까전에 언급한 root 부분이 index.js에서 연결된것을..

샘플 웹앱(create react app) 실행

1. Visual Studio Code에서 Terminal을 여신후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시면 됩니다. npm run start run을 생략하셔도 됩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올겁니다. 잘 동작하고 있는겁니다. 나와있는 그림은 react가 최소한의 UI를 그냥 잠시 보여주고 있는겁니다. 2. 주소 확인하기 그리고 VSCode에서 Terminal안에 내용을 보면 개발중인 앱을 확인하는 주소가 나옵니다. 이 주소로 들어가면 현재 얼마나 개발되어가고 있는지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둘중에 하나 주소로 들어간다는 뜻입니다. 3. 중지시키는 방법 Terminal에서 Ctrl+C를 입력하면 실행을 중단하게 됩니다. 일괄 작업을 끝내겠습니까? 에서 "y"를 입력하면 작업을 끝냅니다.

create react app을 이용해서 개발환경 구축 (unix 기반이면 sudo를 입력해서 설치해주세요!) 다른 게시글과 같이 확인해주세요!

appdevelopmaster.tistory.com/501 npm 과 npx 차이점 (feat. create react app 만들기) ko.reactjs.org/ React –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들기 위한 JavaScript 라이브러리 A JavaScript library for building user interfaces ko.reactjs.org 우선 react 홈페이지에서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해줍니다.. appdevelopmaster.tistory.com 이 개시글에 가장 밑에 부분을 확인해보고 오세요! 내 pc에서 바탕화면에 react-app 파일을 만들어줍니다. **주의** 여기서 react만 입력하게 된다면, 특수한 문자이기때문에 create react app이 거절한다고 합니다.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