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자신의 ip를 찾아봅니다. 그 ip를 이용해서 html파일을 열으려고 할때, 실패하는것을 알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공인인지 사설인지에 나뉘게 되기 때문입니다. ip주소의 체계를 보게 된다면 42억개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숫자가 매우 부족하다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42억개 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생각했는데, 아니게 된겁니다. 2011년도에 모든 ip를 사용했기 때문에 그 이후에는 새로운 ip주소를 발급하지 않게 됩니다. 이러한 ip고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서 ipv6가 나오게 됩니다. ipv6란? ipv4는 기존에 알고있는 체계입니다. ipv6는 훨씬 더 복잡한 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 숫자는 2826구 6692양 0938자 4634해 6337경 4607조 4317억 6821만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