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501

HTML 문서의 범위 & DOCTYPE(DTD)

1. index.html 같은 HTML 파일을 우리는 HTML 문서라고 표현할 수 있다. HTML 문서의 범위를 나타내는 태그를 알아보자. 문서의 구조 Head부분도 물론 정보가 출력되긴한다. 하지만 body가 더 주요 부분이고 head가 출력이 되게 하기위해서 만들어진 용도는 아니다. 2. DOCTYPE(DTD, Document Type Definition)은 마크업 언어에서 문서 형식을 정의한다. 이는 웹 브라우저에 우리가 제공할 HTML 문서를 어떤 HTML 버전의 해석 방식으로 구조화하면 되는지를 알려준다. (HTML은 크게 1,2,3,4,X-,5 버전이 있다.) 현재의 표준 모드는 HTML5 이다.

HTML/기초 2020.12.22

빈 태그(Empty tag)

HTML에는 닫히는 개념이 없는 태그들이 있다.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진다. HTML5에서는 위 2가지 형태를 다 사용할 수 있는데, XHTML 버전이나 린트(Lint)환경 혹은 프레임워크 세팅에 따라 "/"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가 될 수 있다. 빈태그들은 닫히는 태그가 없기 때문에 범위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 태그가 위치하고 있는 그부분에서 무언가를 해결해야하는 그런 용도로 대부분 쓰인다. 그러다 보니까 태그가 가지고 있는 그런 의미보다, 그 의미를 확장해서 쓸 수 있는 "속성 = 값"의 형태가 거의 대부분의 경우가 빈 태그에 포함되게 된다. --> 어떤 형태를 써야 한다는 갑론을박이 있는데 이는 실제론 중요하지 않다. 원하는 형태를 사용하되 혼용은 하면 안된다.

HTML/기초 2020.12.22

부모요소(Parent Element) & 자식 요소(Child Element)

태그A가 태그B의 콘텐츠를 사용되면, 태그B는 태그A의 부모 요소, 태그A는 태그B의 자식 요소라고 한다. 과일 목록 사과 딸기 바나나 오렌지 과일 목록 사과 딸기 바나나 오렌지 안에는(콘텐츠) , ,가 있고 안에는(콘텐츠) 가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section은 h1과 ul의 부모요소이다. 또한 ul은 li의 부모 요소이다. 반대로 h1과 ul은 section의 자식요소이다. 또한 li는 ul의 자식요소이다. 여기서 ul은 section의 자식 요소이면서 li의 부모 요소이다. 이처럼 부모와 자식 요소는 상대적인 개념이다. 우리가 기본적인 가계도를 통해서 할아버지, 엄마, 삼촌, 형제 같은 호칭을 정의하듯, HTML의 구조도 위와 같은 개념으로 호칭을 정의해서 추후 선택자를 통해 CSS와 JS로 H..

HTML/기초 2020.12.22

속성(Attribute)& 값(Value)

태그(요소)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해 '속성'을 사용할 수 있다. 홍길동 홍길동 는 이미지를 삽입할 때 사용하는 태그이다. 하지만 태그만 사용하면 어떤 이비지를 삽입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src(source)라는 속성을 사용해서 삽입할 이미지의 경로를 지정한다. 그리고 alt(alternative)라는 속성은 다양한 이유에서 이미지가 삽입되지 못했을 경우에 대신에서 나타나는 글자이다. div는 division이며 는 의미를 가지지 않는 태그로 어떤 내용이든 묶어낼(Wrap) 수 있다. 위에선 '홍길동' 이라는 텍스트를 묶었으나 그 내용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name이라는 태그 별명(class)를 추가했다. -->img와 같이 닫히는 태그가 없으면 빈태그라고 부른다.

HTML/기초 2020.12.22

HTML 문법

기본형태 HTML이나 CSS는 단순하게 구조를 나타내거나 스타일링을 하는것이기 때문에 엄청 문법이 간단하다. 태그는 각자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진다. 태그와 요소는 같은것이며 굳이 나눌 필요는 없다. 하지만 정확한 의미는 다르긴하다. //이것을 통틀어서 요소라고 한다. (Element) CONTENT //앞에는 열리는 태그이고 뒤는 닫히는 태그이다. 토끼와 거북이 옛날 옛적에 토끼와 거북이가 경주했다... 토끼와 거북이 옛날 옛적에 토끼와 거북이가 경주했다...

HTML/기초 2020.12.22

오픈소스 라이선스

오픈소스란? 어떤 제품을 개발하는 과정에 필요한 소스 코드나 설계도를 누구나 접근해서 열람할 수 있도록 공개하는 것. 오픈소스라 하면 보통 무료 저작권이고 공짜로 사용해도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다양한 종류의 오픈소스 라이선스가 존재하며 개인적 이용은 가능하지만, 상업적 이용에 제한이 있거나 경우에 따라 비용을 지불해야 할 수도 있다. 현실적으론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코드를 직접 작성할 수 없기 때문에 많은 경우 오픈소스에 의존하게 된다. 개인적인 사용을 목적으로는 문제가 없겠지만, 회사에서(상업적으로) 아무 생각 없이 사용하다가는 문제가 돼서 해고당하거나 피해 보상을 해줘야 할지도 모른다. 물론 인터넷에 떠도는 코드 몇줄 복사해서 썼다고 그 정도 심각한 문제가 되지 않지만, 항상 조심하는것이 좋..

카테고리 없음 2020.12.22

특수 문자 용어 정리

기호 영어(발음) 한글 ` Grave(,rmfpdlqm) - ~ Tilde(틸드) 물결표시 ! Exclamation(엑스클러메이션) mark 느낌표 @ At(엣) sign 골뱅이 # Number(넘버) sign, Sharp(샵) 샵, 우물 정 ^ Caret(캐럿) - & Ampersand(엠퍼센드) - * Asterisk(에스터리스크) 별표 - Hyphen(하이픈), Dash(대쉬) 마이너스(거의 안씀) _ UnderScore(언더스코어), Low dash(로대쉬), 언더바 밑줄 = Equals(이퀄) sign 이꼬르 " Quotation(코어테이션) mark 큰따옴표 ' Apostrophe(아포스트로피) 작은 따옴표 : Colon(콜론) 땡땡이 ; Semicolon(세미콜론) 털 달린 땡땡이 . Per..

카테고리 없음 2020.12.22

크로스 브라우징 및 웹 접근성 이란?

크로스 브라우징이란? 크로스 브라우징(Cross Browsing)은 조금 다르게 구동되는 여러 브라우저에서 동일한 사용자 경험(같은 화면, 같은 동작 등)을 줄 수 있도록 제작하는 기술, 방법 등을 말한다. 대부분의 브라우저는 최대한 웹 표준을 준수해서 제작되기 때문에 문제 되는 경우가 적지만, MSIE 브라우저는 여러 의미에서 표준화하기 쉽지 않은 브라우저이다. 그래서 IE에서도 동작하는 것을 크로스 브라우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웹 접근성이란? 정상적인 웹 콘텐츠 사용이 가능한 일반 사용자로부터 고령자, 장애인 같은 신체적, 환경적 조건에 제한이 있는 사용자를 포함해 모든 사용자들이 동등하게 접근할 수 있는 웹 콘텐츠를 제작하는 방법을 말한다. 청각 장애인들을 위해 영상 자막을 넣거나, 마우스를 사용..

HTML/기초 2020.12.22

은행계좌 파일나눠서 써보기 (account.h, account.cpp, main.cpp)

using namespace std; class Account { private: int number; string name; double balance; public: Account(); Account(int createNumber, string createName, int createBalance); void display(); void set_deposit(int money); void set_withdraw(int money); void set_addInterst(); };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account.h" using namespace std; Account::Account() { number = 0; name = ""; ba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