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소의 '외부(바깥) 여백'을 지정
값 | 의미 | 기본 값 |
단위 | px, em, cm 등 단위로 지정 | 0 |
auto | 브라우저가 너비를 계산 (보통 특수한 경우에 사용한다.) | |
% | 부모 요소의 너비에 대한 비율로 지정 |
<div class="parent">
<div class="child"></div>
</div>
.parent{
width : 400px;
height: 200px;
border : 4px solid tomato;
}
.child{
width: 100px;
height: 100px;
border : 4px solid;
margin : 50%
}
결과값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자식요소의 margin은 자식태그 기준에 50%가 아닌, 부모태그의 가로길이 50%로 만들어졌다는걸 알 수 있다.
* 사용법
margin : 위 우 아래 좌;
margin : 위 [좌, 우] 아래;
margin : [위, 아래] [좌,우];
margin : [위, 아래, 좌, 우];
.box{
maring: 10px 20px 30px 40px;
marign: 10px 20px 40px;
marign: 10px 40px;
maring: 10px;
}
일반적으로는 단축속성을 사용하는것이 편리하고 좋지만, 딱 한군대만 지정해서 설정할 경우에는 다음 밑에와 같이 위치를 지정해서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1. maring-top
2. margin-right
3. margin-bottom
4. margin-left
'CSS > 속성 - 박스 모델'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rder (0) | 2021.01.08 |
---|---|
padding (0) | 2021.01.08 |
margin - 중복(Collapse) (0) | 2021.01.08 |
max-width, min-width, max-height, min-height (0) | 2021.01.08 |
width, height (0) | 2021.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