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01

ArrayList

ArrayList생성 방법 1. ArrayList에 들어가 자료형을 명시적으로 표현 ArrayList 변수명 = new ArrayList(); 2. ArrayList에 들어가 자료형을 생략 ArrayList 변수명 = new ArrayList(); cf. 명시적으로 적는것과 명시적으로 적지않는것에는 차이가 있다. 명시적으로 적은곳에 명시된 다른값을 넣게 된다면 오류가 나게 된다. 명시되지않는 곳에는 모든형태의 자료형들이 들어 올 수 있다. ArrayList 사용방법 1. ArrayList에 값을 추가하는 방법 ArrayList testList = new ArrayList(); testList.add(값); 2. ArrayList에 값을 제거하는 방법 ArrayList에 값을 제거하는 방법 testList..

튜플

튜플(tuple)은 몇 가지 점을 제외하고는 리스트와 거의 비슷하며 리스트와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리스트는 [ ] 으로 둘러싸지만 튜플은 ( )으로 둘러싼다. 리스트는 그 값의 생성, 삭제, 수정이 가능하지만 튜플은 그 값을 바꿀 수 없다. 튜플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 >>> t1 = () >>> t2 = (1,) >>> t3 = (1, 2, 3) >>> t4 = 1, 2, 3 >>> t5 = ('a', 'b', ('ab', 'cd')) 리스트와 모습은 거의 비슷하지만 튜플에서는 리스트와 다른 2가지 차이점을 찾아볼 수 있다. t2 = (1,)처럼 단지 1개의 요소만을 가질 때는 요소 뒤에 콤마(,)를 반드시 붙여야 한다는 것과 t4 = 1, 2, 3처럼 괄호( )를 생략해도 무방하다는 점이다. 리스..

딕셔너리

딕셔너리란? 파이썬은 대응관계를 나타낼 수 있는 자료형을 가지고 있다. 요즘 사용하는 대부분의 언어도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자료형을 갖고 있는데, 이를 연관 배열(Associative array) 또는 해시(Hash)라고 한다. 딕셔너리는 리스트나 튜플처럼 순차적으로 해당 요소값을 구하지 않고 key를 통해 value를 얻는다. 이것이 바로 딕셔너리의 가장 큰 특징이다. 딕셔너리를 만드는 방법 >>> dic = {'name':'pey', 'phone':'123456789', 'birth':'1118'} 이것이 예이고 key와 value값은 이렇게된다. key value name pey phone 123456789 birth 1118 딕셔너리 쌍추가, 삭제하기. 1. 쌍 추가하는 방법 >>> a = {1: ..

문자열 자료형

문자열이란 문자, 단어 등으로 구성된 문자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문자열은 만들고 사용하는 방법 큰따옴표로 양쪽 둘러싸기 "Hello World" 작은따옴표로 양쪽 둘러싸기 'Python is fun' 큰따옴표 3개를 연속으로 써서 양쪽 둘러싸기 """you need Python""" 작은따옴표 3개를 연속으로 써서 양쪽 둘러싸기 '''oh good''' 문자열 안에 작은따옴표나 큰 따옴표를 포함시키고 싶을때 작은따옴표를 포함시키고 싶을때 color = "Python's color" 이럴떄는 다음과 같이 문자열을 큰따옴표로 둘러싸야한다. 큰따옴표 안에 들어있는 작은따옴표는 문자열을 나타내기 위한 기호로 인식되지 않는다. 문자열에 큰따옴표 포함시키기 say = '"Python is awesome". he s..

자료형(Type)

Primitive Type - 어떤 언어, OS에서도 같은 뜻으로 통한다. - 소문자로 시작한다. 양수 음수 참/거짓 문자 short float boolean char int double long Reference Type - 참조형 타입 - 모든 객체는 참조형 자료형이 될 수 있다. (객체란 언어에서 제공하는 이미 만들어져있는 객체 또는, 개발자가 새롭게 정의한 객체를 포함한다. 개발자가 새롭게 객체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Primitive 타입과 다르게 이자료가 어떤자료인지 설명 할 필요가 있다.) - 어떤 언어별, OS별로 뜻이 다르거나 혹은 존재하지 않음으로 설명이 필요하다. - 대문자로 시작한다. 이미 있는 타입 사용자 정의 타입 String Student View Teacher package ..

변수란?

변수는 이름그대로 변하는 수 이다. 변수를 사용하는 이유 : 변수 안에 값을 넣어 놓기 위해서 사용한다. 변수선언하는 방법은 - 자료형 변수명으로 한다. - ex) int number; double number2; 변수명 제약 조건 - $,&와 같은 특수 문자를 사용 할 수 없다. - 이미 지정되어있는 변수명(자바 키워드)은 사용 할 수 없다. ex) int, class, long 변수에 값을 대입 하는 방법 int a; String b; a = 10; b = "variable"

강사와 나의 문제풀이 차이점

먼저 나의 문제풀이를 보여주겠다. 나는 FrameLayout에서 바로 TextView의 크기를 설정을 했다. 그리고 바로 FrameLayout의 기능인 gravity를 2중으로 사용을 했다. 하지만 강사는 달랐다. FrameLayout안에 LinearLayout을 만들고 LinearLayout의 gravity를 사용했다는 점이다. 아직 아는것이 많이 없어 확답은 할 수 없지만, 마치 LinearLayout을 메소드처럼만든다음 자바의 형태인 객체지향프로그래밍의 모습을 보여주는것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