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패키지 검색
이곳에서 패키지를 검색하시면 됩니다.
예를들어서 웹서버를 내 컴퓨터에 설치하고 싶다면 검색을 해봅니다.
이곳에서 ws가 나오는걸 볼 수 있습니다. p는 Popularity를 뜻하고, q는 Quality를 뜻하고, m은 Maintenance를 뜻합니다. 옆에 있는 막대기가 길이를 보면 그것에 대한 popularity, quality, maintenance의 정도를 알 수 있는겁니다.
p가 긴거 보면 인기가 많다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2. 설치
이곳에서 이것이 독립적인것인지 어디하나의 부품으로 사용되는지를 알아내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부분을 복사해서 cmd에 입력합니다.
i 는 install의 약자입니다.
npm install loca-web-server
만약 이상태로 그냥 설치하게된다면, 내가 위치하고 있는 디렉터리에 깔리게 됩니다. 그래서 일부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이것을 부품처럼 사용하겠다는 뜻이 됩니다.
npm install -g local-web-server
만약에 특정한곳에서 사용하는것이 아닌, 어디에서나 이것을 사용하려면 전역으로 설정해줘야합니다.
global의 약자 -g 를 이용합니다.
만약 -g가 설치가 되지않는다면 이와같이해야합니다.
이것은 일반사용자로 설치했을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그래서 sudo(관리자의 권한)으로 설치하겠다라고 명령을 해줘야합니다.
3. 실행
잘 설치됬는지 확인합니다.
이 명령어에 의해서 local-web-server가 커멘드라인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돌아갑니다.
이뜻은 local-web-server가 동작했다는 뜻이고 패키지가 여기있는 주소중에 하나에 들어가면 현재 실행시킨 경로에 있는 파일을 웹서버가 웹브라우저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뜻이 됩니다.
'NPM' 카테고리의 다른 글
npm 과 npx 차이점 (feat. create react app 만들기) (0) | 2021.02.03 |
---|---|
npm 패키지의 목록 보기, 업데이트 그리고 삭제 (sudo는 unix기반 운영체제 이용할때 사용하세요) (0) | 2021.02.03 |
npm (Node Package Manager)이란? (0) | 2021.02.03 |